목록기록/용어정리 (7)
개발 기록이
1. 배포(Deploy) - 서버에 기능을 추가하려면 개발자는 로컬 - 개발 - 실서버 단계로 개발한 내용을 반영하게 됨. - 실서버 단계에서 수정된 코드를 반영하는 것을 배포라고 함. 2. 빌드(Build) - 배포를 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의미. - 실서버에 올릴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의미. 출처: https://nanbuja.com/entry/%EB%B9%8C%EB%93%9C-%EB%B0%B0%ED%8F%AC-%EC%BB%B4%ED%8C%8C%EC%9D%BC%EC%9D%98-%EA%B0%9C%EB%85%90-%EC%B0%A8%EC%9D%B4%EC%A0%90-Build-Deploy-Complie
온프레미스 (On-premise)기업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이나 데이터 센터에 서버와 같은 IT 인프라를 직접 설치하고 운영하는 방식.모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자원은 기업이 직접 관리하며, 데이터 보안과 운영 관리를 전적으로 기업 내부에서 수행.장점: 데이터 보안이 기업 내부에서 완전히 통제 가능하며, 특정 요구사항에 맞게 시스템을 맞춤화할 수 있음.단점: 초기 설치 비용이 높음, 운영 및 유지보수에 많은 자원이 필요. 클라우드(Cloud)IT 자원(서버, 저장공간,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을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접근하고 사용하는 방식.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모든 인프라를 관리하며, 기업은 필요한 자원을 서비스 형태로 구입해 사용함.장점: 초기 비용이 낮으며, 필요에 따라 자원을 쉽게 확장하..

1. SSL(Secure Sockets Layer) 이란?암호화 기반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웹 서버 - 웹 브라우저 간에 안전하고 암호화된 연결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보안 프로토콜)웹서버 - 웹 브라우저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도청, 변조와 같은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함.정보를 암호화하여 정보를 볼 수 없는 사람이 읽을 수 없도록 함.(발신자와 수신자만 이해할 수 있어 다른 사람은 읽을 수 없는 비밀 코드 개념)인터넷 통신 보안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었지만 이후 TLS(Transport Layer Security)로 대체됨.(*TLS: 기본적으로 보안 기능이 향상된 SSL의 업데이트 버전)SSL은 대부분 TLS로 대체되었지만 SSL이라는 용어는 여전히 두 프로토콜을 모두 지칭하는 데 일반적..

1. 웹서버http 프로토콜 기반(http 요청을 받아 콘텐츠를 제공)정적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단순 html 문서, css, 이미지, 파일 등 즉시 응답 가능한 콘텐츠정적 콘텐츠가 아닌 동적 콘텐츠를 요청 받으면 WAS에게 해당 요청을 넘겨줌WAS에서 처리한 결과를 client에게 전달하는 역할 O ex) 아파치, Webtob 2. WAS(Web Application Server)http 프로토콜 기반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이 수행됨DB 조회/다양한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Application 서버.JSP, Servlet 구동 환경을 제공해 줌 -> 그래서 서블릿 컨테이너/웹 컨테이너라고 불리기도 함 ex) 톰캣, JBoss, WebSphere, JEUS 따로 존..

1.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자원의 식별자인터넷에 있는 특정 자원을 식별할 수 있는 문자열Uniform : resource를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Resource : 자원, URI로 식별 가능한 모든 것을 의미. (웹 브라우저의 자원 + 실시간 교통정보 등 우리가 구분할 수 있는 모든 것)Identifier : 다른 항목들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 URI의 하위 개념 : URL, URN 2.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자원의 위치파일 식별자네트워크 상에서 파일(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이 어느 위치한 정보를 나타냄.웹 사이트 주소 + 컴퓨터 네트워크상의 자원을 나타내는 모든 표기법을 의미URL은 프로토콜(http, s..
트러블슈팅의 사전적 의미문제 해결의 일종으로 망가진 제품이나 기계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수리하는 일을 의미.제품이나 프로세스의 운영을 재개할 수 있게 함. IT에서 사용되는 트러블슈팅의 의미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진단해 처리하는 것을 의미. 출처: https://ko.wikipedia.org/ , https://codedaeng.tistory.com/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