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63)
개발 기록이

네트워크 보안 외부의 악의적인 침입으로부터 내부의 컴퓨터들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가장 안전한 네트워크 설계는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를 완전히 차단해 내부에서 외부로 접속하지 못하도록 고립시키는 것이지만 이 방법은 잘 구성하지 않는다.내부의 사용자는 외부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지만 외부에서는 내부로 침입할 수 없게 하는 방법이 필요해졌다. (사설 IP 주소 이용)사설 IP 주소의 컴퓨터와 외부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IP 마스커레이딩(IP Masquerading)이라고 한다. 방화벽(Firewall)외부의 공개된 네트워크와 내부의 사설 네트워크 사이에서 외부와 내부에 전달되는 트래픽을 '정책'에 따라 허용 또는 거부하는 역할을 하는 컴퓨터나 장치를 의미한다. 마스커레이딩(Masquerad..

인터넷에 검색하면 mysqldump를 이용해서 백업하는 법이 많이 소개되는데 간단하게 HeidiSQL에서 백업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려고 한다.1. HeidiSQL에서 백업하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test1) -> 마우스 오른쪽 클릭 -> [데이터베이스를 SQL로 내보내기] 클릭 2. 백업 경로를 지정하고 [내보내기] 클릭3. 내보내기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4.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한 경로로 이동하여 testFile.sql 파일을 열고 CREATE DATABASE 부분과 USE 부분의 데이터베이스명을 'test1_backup' 과 같이 기존 데이터베이스명과 구별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명을 변경한 후 저장. 📌 check point- CREATE DATABASE IF NOT E..

@Restcontroller를 이용해서 ResponseEntity로 JSON 값들을 브라우저로 출력하던 중 406 에러가 발생했다.@RequestMapping(value = "/test", method= RequestMethod.GET, produces = { "application/json;charset=UTF-8" })public ResponseEntity> test(HttpServletRequest request, @RequestParam HashMap param) { HashMap resultMap = new HashMap(); List> list = null; if (param.isEmpty() || !(param.containsKey("testingParam1"))) {..